프로그래밍/JAVA

14. switch 문으로 문자 조건 처리하기

설매향 2025. 4. 17. 15:24
반응형

자바에서는 switch 문을 이용해서 여러 개의 조건 분기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char형 값을 비교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char 타입을 이용한 switch 문 활용을 예제로 알아보겠습니다.


💻 예제 코드

public class SwitchCha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g = 'B';

		switch (g) {
		case 'A':
		case 'a':
			System.out.println("우수 회원입니다.");
			break;
		case 'b':
		case 'B':
			System.out.println("일반 회원입니다.");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손님입니다.");
		}
	}
}

💬 코드 설명

  1. char g = 'B';
    • 변수 g에 문자 'B'를 저장합니다.
  2. switch (g)
    • g의 값을 기준으로 아래 case 문들과 비교합니다.
  3. case 'A': case 'a':
    • g의 값이 'A'나 'a'일 경우 "우수 회원입니다."를 출력합니다.
  4. case 'B': case 'b':
    • g의 값이 'B'나 'b'일 경우 "일반 회원입니다."를 출력합니다.
  5. default:
    • 위의 모든 경우가 해당되지 않을 때 "손님입니다."를 출력합니다.

📃 실행 결과

일반 회원입니다.

📌 switch 문 특징 요약

항목 설명
비교 가능 타입 byte, short, int, char, enum, String
break 필수 여부 선택이지만 없으면 다음 case로 이어짐 (fall-through 현상)
default 모든 조건이 불일치할 경우 실행

💡 포인트 정리

  • switch 문은 if-else보다 구조가 더 간결하게 표현됩니다.
  • 여러 case를 이어붙여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 break문이 없으면 다음 case로 이어지므로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