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주요 주제
- 람다식(Lambda Expression)
-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
- 생성자 참조(Constructor Reference)
📌 예제 코드 정리
1. 기본 람다식 사용
- 함수형 인터페이스: Calculable, Workable 등
action((x, y) -> {
int re = x + y;
System.out.println("result : " + re);
});
- () -> {} 형식으로 익명 구현체를 간단히 표현
2. 매개변수 있는 람다식
person.action((name, job) -> System.out.println(name + "이 " + job + "을 합니다."));
person.action2(word -> System.out.println("\"" + word + "\" 라고 외칩니다."));
3. return문 있는 람다식
person.action((x, y) -> x + y);
person.action((x, y) -> sum(x, y));
- 리턴값이 있는 경우 -> 오른쪽에 결과값 표현
4. 메서드 참조
person.action(Computer::staticMethod); // 정적 메서드 참조
person.action(new Computer()::instanceMethod); //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 람다식 대신 메서드 이름만으로 간결하게 전달 가능
5. 비교 메서드 참조
person.ordering(String::compareToIgnoreCase);
- 두 문자열을 대소문자 무시하고 비교
6. 생성자 참조
Member m1 = person.getMember1(Member::new); // 단일 매개변수 생성자
Member m2 = person.getMember2(Member::new); // 두 개 매개변수 생성자
- Creatable1, Creatable2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생성자 전달
💡 포인트 정리
- 람다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 구현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문법입니다.
- 메서드 참조(::)를 사용하면 이미 정의된 메서드를 람다처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생성자 참조를 사용하면 new 생성자()를 람다 없이 간단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 람다식은 코드 가독성 향상과 간결한 문법 표현에 큰 도움을 줍니다.
📌 정리하자면, 27일차에는 자바의 람다식과 함수형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를 더욱 간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메서드 참조와 생성자 참조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는 자바의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는 핵심 기능이며, 이후 Stream API나 비동기 처리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다양한 예제를 통해 구조와 활용법을 직접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0일차 181~182 ] 수업 정리 - 자바 (1) | 2025.05.27 |
---|---|
[ 29일차 169~180 ] 수업 정리 - 자바 (0) | 2025.05.26 |
[ 28일차 161~168 ] 수업 정리 - 자바 (1) | 2025.05.23 |
[ 26일차 145~152 ] 수업 정리 - 자바 (0) | 2025.05.21 |
[ 25일차 137~144 ] 수업 정리 - 자바 (1) | 2025.05.20 |
[ 24일차 129~136 ] 수업 정리 - 자바 (1)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