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5

1. CRUD 게시판 프로젝트 - 설치부터 게시글 생성까지

이번 글에서는 게시판 구현을 위한 코딩 순서를 한번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이번 글에서 구현하는 게시글은 CRUD 중, CR 까지만 진행하며,실제로 하시고보면 그렇게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구조 자체는 간단한 편입니다.1. 먼저 DB 연결을 해보자.저의 경우 H2 DB를 사용했습니다. 실무를 직접 뛰어보지 않은 제가 적어드리는 것보다, 저보다 믿음직한 GPT에게 먼저 물어봤습니다.GPT 4.1버전 기준으로 개발과 테스트 환경에서 많이 쓰이며, 실제 서비스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는군요. 하지만, H2는 빠르게 결과 확인이 가능하고, 실수를 하더라도 부담 없는 환경을 제공합니다.또한, 운영 DB와 문법 호환성이 좋은 편이라서, 개발-운영 환경 전환이 쉬운 편입니다.나중에 실제로 배포하신다면 운영용 ..

어노테이션 GenerationType에 대해서

GenerationType는 id값이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방법을 지정해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하지만 뒤에 오는 것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한번 이번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1. GenerationType.IDENTITY데이터베이스가 auto-increment(자동 증가) 기능을 이용해서새 레코드가 추가될 때마다 id 값을 하나씩 자동으로 올려줍니다. id 값이 1, 2, 3, 4... 이렇게 점점 하나씩 개발자가직접 넣지 않아도 자동으로 증가한 값을 채워줍니다.2. GenerationType.AUTOJPA가 DB에 맞는 전략을 알아서 선택합니다.H2나 MySQL에선 IDENTITY, Oracle에선 SEQUENCE를 내부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DB에 따라 자동..

백엔드 개발자는 왜 CRUD 게시판을 필수적으로 공부하는가?

이번에는 제가 공부하면서 CRUD 게시판이 "왜 백엔드 개발자에게 중요한 것인가?" 궁금증이 생겨 찾아보았습니다.CRUD 게시판은 공부하시다보면 아시겠지만 백엔드 공부를 하면 어떠한 언어를 해도필수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수업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제가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1. 먼저 CRUD 게시판이란?CRUD는 Create(생성), Read(조회), Update(수정), Delete(삭제)의 약자로,게시글을 등록, 조회, 수정, 삭제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을 CRUD 게시판이라고 합니다. 백엔드 개발자로서 글을 쓰고, 목록을 보며, 개별 게시글을 확인할 수 있고, 수정이 가능하며, 삭제할 수 있는 게시판.딱 기본적인 게시판의 형태를 만들 줄은 알아야 백엔드 개발자..

cmd로 8080 포트 죽이기

1. cmd를 켜고, 8080 포트를 먼저 조회해줍니다.netstat -ano | findstr 8080// netstat// 네트워크 접속,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를 보여두는 명령어입니다.// -a 모든 네트워크 상태 출력[-all]// -c 현재 실행 명령을 매 초마다 실행[-continuous]// -e 확장된 정보 출력[-extend]// -g 멀티캐스트에 대한 그룹별 정보 출력[-groups]// -i 인터페이스 별 통계값 출력[-interface]// -l 대기 중인 네트워크[-listening]// -n 도메인 주소를 숫자로 출력[-numeric]// -o 연결 대기 시간 출력[-timers]// -p PID(프로세서 ID)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 출력[-progra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