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13

리액트 개발환경 구축하기! - Node.js와 VSCode를 설치해보자

이번 글에서는 리액트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VSCode가 잘 실행되는지 확인하는 것까지 진행하려고 합니다.수업을 통해 들은만큼 이 글은 수업을 들으며 진행했던 순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1. Node.js 22.17.1(LTS) 설치하기 먼저 Node js를 검색해서 nodejs.org로 들어가줍니다.사실 직접 검색할 필요 없이 제가 위에 적어드린 주소를 그냥 적어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Get Node.js를 클릭하고 download 페이지로 넘어가주세요. ① Node.js의 버전으로 저희는 v22.17.1(LTS) 으로 설치할겁니다. ❓ LTS버전이란?LTS(Long Term Support)는 장기 지원되는 버전을 의미합니다.일반 버전과 달리 안정성에 중점을 둔 버전으로, 보안 업데..

React/개인 공부 2025.07.21

React 1일차 - 개인 정리 내용

이번 글에서는 처음으로 리액트(React)를 듣는 만큼 간단한 내용부터 정리해보고자 합니다.다른 언어들은 스쳐지나가듯 들었든, 들은 기억이 남아있지면 리액트는 첫 경험이니 잘 부탁드립니다.1. tailwind.config.js이 파일은 Tailwind CSS의 환경설정 파일입니다.Tailwind CSS가 어떤 파일을 분석해서 스타일을 적용할지,테마 확장 여부, 플러그인 사용 등 모든 설정을 여기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type {import('tailwindcss').Config} */먼저 시작은 첫 줄에 적힌 주석에 대해서 간단한 설명을 적어두겠습니다.VSCode 등에서 타입 자동완성을 지원하게 해주는 역할입니다.주석으로 처리되어 있기에 실제로 작동되는거 같지는 않아 간단하게 넘어가겠습니다. ..

React/개인 공부 2025.07.21

React 1강: TailwindCSS & React Router 환경설정

이번 글에서는 React 프로젝트에서 TailwindCSS와 React Router를 적용하기 위한 환경설정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1. 터미널에서 새 콘솔(cmd) 열기React 프로젝트 폴더에서 터미널 → 새 터미널을 선택해 새로운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합니다.2. 개발 서버 실행npm start새로운 터미널(cmd)에서 npm start 명령어를 입력하면 리액트 개발 서버가 실행됩니다.3. TailwindCSS 설치npm install -D tailwindcss@3TailwindCSS를 개발 의존성으로 설치합니다.4. TailwindCSS 초기화npx tailwindcss init위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 루트에 tailwind.config.js 파일이 생성됩니다.5. tailwind..

React/실습 정리 2025.07.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