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73

Spring 3강 - 어노테이션 기반 의존성 주입

이번 글에서는 XML 설정 없이 어노테이션만으로 객체를 주입받는 방식, 즉 Annotation 기반 DI를 실습합니다. 코드 위주 설정으로 간결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Speaker.javapackage example;public interface Speaker { public void volumeUp(); public void volumeDown();}📦 TV.javapackage example;public interface TV { public void powerOn(); public void powerOff(); public void volumeUp(); public void volumeDown();}📦 AppleSpeaker.javapackage example;impo..

Spring 2강 - 생성자 주입과 다형성 객체 활용

이번 시간에는 생성자(Constructor)를 이용한 의존성 주입(DI) 방법과,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다양한 구현체로 바꿔가며 사용하는 다형성 기반 DI를 실습합니다.📦 TV.javapackage example;public interface TV { public void powerOn(); public void powerOff(); public void volumeUp(); public void volumeDown();}📦 Speaker.javapackage example;public interface Speaker { public void volumeUp(); public void volumeDown();}📦 AppleSpeaker.javapackage example;public class App..

Spring 1강 - DI(의존성 주입) 기초 예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을 예제 중심으로 배워봅니다.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설정 파일을 통해 주입받는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이번 강의의 핵심입니다.📦 TV.java (인터페이스)package example;public interface TV { public void powerOn(); public void powerOff(); public void volumeUp(); public void volumeDown();}📦 samsungTV.javapackage example;public class samsungTV implements TV { public void powerOn() { System.out.println(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