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length() 메서드를 사용하여
주민등록번호 자릿수를 검사하는 예제를 살펴봅니다.
문자열 입력이 올바른 형식인지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 예제 코드
public class Lengt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9806121230123";
if (str.length() == 13)
System.out.println("주민등록번호 자릿수가 맞습니다");
else
System.out.println("주민등록번호 자릿수가 틀립니다");
}
}
💬 코드 설명
- String str = "9806121230123";
→ 주민등록번호처럼 13자리 숫자를 문자열로 저장함 - str.length()
→ 해당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 (문자 개수 기준) - if (str.length() == 13)
→ 문자열의 길이가 정확히 13인지 확인
→ 맞으면 "자릿수 맞음", 다르면 "자릿수 틀림" 출력
💻 실행 결과
주민등록번호 자릿수가 맞습니다
📌 간단 정리
메서드 | 설명 |
length() | 문자열의 길이(문자 수)를 정수형으로 반환 |
str.length() == 13 | 문자열이 13자리인지 확인 |
💡 포인트 정리
- length()는 문자열 길이 확인에 사용되는 기본 메서드
-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 자릿수 검사에 자주 사용
- "문자열".length()는 숫자가 아닌 문자 수 기준
- 배열의 길이는 .length, 문자열은 .length()
→ 이 둘은 괄호 유무가 다르니 주의!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문자열 찾기 - indexOf()와 contains() (3) | 2025.04.22 |
---|---|
27. 문자열 자르기 - substring() 메서드 (0) | 2025.04.22 |
26. 문자열 바꾸기 - replace() 메서드 (0) | 2025.04.22 |
24. 빈 문자열 비교 - ""와 equals() (0) | 2025.04.21 |
23. 문자열 비교 - == vs .equals() (0) | 2025.04.21 |
22. 가비지 컬렉션과 참조 제거 (1) | 2025.04.21 |